전체 글 369

사이 몽고메리 [좋은 생명체로 산다는 것은] 동물들과의 교감의 기록

동물 생태학자 사이 몽고메리(Sy Montgomery, 1958-)의 [좋은 생명체로 산다는 것은]은 'How to ge a good creature: A memory in thirtheen animals'라는 제목으로 2018년에 출간되었고 우리나라에서 '더숲'에서 2019년에 번역출간되었다.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이 책을 도서관에서 빌렸다. 책을 읽고 나서 든 느낌은 따뜻했다. 이 작가의 동물사랑이 그대로 전해져오는 듯했다. 동물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는 책은 흔치 않다. 작가 이력을 살펴보면 '인디애나 존스이자 에밀리 디킨슨'이라고 불린다는 구절이 나온다. 사이 몽고메리는 오지 정글을 탐험하면서 야생동물을 연구하고 동물들과의 교감을 글로 쓴다고 한다. 하지만 탐험을 하지 않을 때는 자신과 남편이 키..

소수자감성 2023.08.15

[퀴어, 젠더, 트랜스] 젠더권이란 무엇일까?

리키 윌친스의 [퀴어, 젠더, 트랜스]는 2004년에 'queer theory, gender theory'란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이 20년 가까운 긴 시간이 흘러 우리나라에서 번역되었다. 퀴어 이론, 젠더 이론이라고 책 제목을 달기에는 너무 무겁다고 생각한 것일까? 아무튼 긴 시간이 흘렀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충분히 탐독할 만한 책이다. 여성에 대한 혐오, 페미니스트에 대한 혐오가 만연하고 아직 성소수자의 존재는 수면 위로 잘 드러나지 않는 우리 사회에서는 이 책의 내용이 다수 대중에게 오히려 지나치게 급진적인 느낌을 줄 것 같다. 지은이 리키 윌친스(Riki Wilchins, 1952-)는 젠더 표현과 젠더 정체성의 권리를 옹호하고 젠더권을 실현하기 위해 활동해온 활동가다. 노트> 1부 모두..

소수자감성 2023.08.06

[괴담] 유령 이야기

올여름 도서관 북큐레이션 주제는 '공포소설'. 전시된 책 가운데 '괴담'이라는 제목 때문에 고이케 마리코의 [괴담]을 손에 들었다. 무더운 여름철에는 방바닥 돗자리 위에서 뒹굴거리면서 무서운 이야기를 담은 책을 읽는 것이 최고라는 생각. 도서관 사서가 주제를 공포소설이라고 정한 이유도 나랑 같은 마음이었을 것 같다. 고이케 마리코의 작품을 지금껏 읽어보지 못했는데 이번이 처음. 미야베 미유키 정도의 필력이 돋보이지는 않는 것 같는다. 다른 책은 어떠려나... 7편의 단편을 모은 이 책은 소재가 모두 '유령'. 죽음에 관한 저자의 관심에서 이 이야기들을 지었다고 한다. 타인의 죽음, 특히 가까운 사람의 죽음이 주는 고통은 유령이 되어서라도 죽은 존재가 곁에 머물렀으면 하는 소망을 갖게 한다는 것일까? 여기..

상상력 2023.07.30

[여기는 무지개집입니다] 한 집 안의 퀴어 공동체

[여기는 무지개집입니다]는 공동체의 삶, 퀴어들의 공동체의 한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은 오월의 봄에서 2022년에 출간되었다. 기획자는 '가족구성권연구소'다.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가족, 공동체를 구성할 권리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적 대안을 찾고 있다니 훌륭하다. 사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이성애중심의 혈연 핵가족은 우리 사회가 가족의 합법적이고 전형적 모델로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좀더 현실을 들여다 보면 함께 일상을 꾸려나가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당장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이혼후 재구성된 가정은 흔히 볼 수 있는 가족형태다. 게다가 홀로 살아가는 1인 가정도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그런데 1인세대가 모여 이루는 가족도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동성애 ..

소수자감성 2023.07.28

[논바이너리 마더] 아이를 낳은 논바이너리 트랜스맨의 이야기

책 제목 때문에 이 책을 빌려왔다. 오늘날 세분된 성정체성에 '논바이너리(non-binary)'라는 범주가 있다는 것을 안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논바이너리'라는 단어에서 이미 예상할 수 있듯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논바이너리'로 규정한다는 것은 기존의 성별이분법, 즉 남성과 여성으로의 구분법을 거부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런 식의 젠더이분법을 거부하는 개념에는 젠더리스(genderless), 에이젠더(a-gender)와 같은 개념도 있다. '젠더리스'는 성별정체성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고, '에이젠더'는 젠더 없음을 성별정체성으로 인정한다. 말장난처럼 여겨질 수 있겠지만 젠더구분에 대한 거부감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봐도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논바이너리'에는 '안드로진', '바이젠더', '..

소수자감성 2023.07.26

[에피쿠로스의 네가지 처방] 에피쿠로스 철학을 알기 쉽게 안내

에피쿠로스의 철학은 행복한 삶을 위한 지혜가 담겨 있다. 존 셀라스(John Sellars)의 [에피쿠로스의 네 가지 처방]은 에피쿠로스의 철학은 누구나 접근하기 쉽게 전달해준다. 이 책의 원제는 The fourfold remedy. 2021년에 출간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2022년 복복서가에서 번역출간되었다. 에피쿠로스철학과 스토아철학 사이에는 유사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에피쿠로스가 추구하는 삶은 즐거움이지만 스토아철학이 추구하는 삶은 진지함이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에피쿠로스 철학이 진지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아무튼 스토아 철학은 세계주의를 지향하며 세계 속에서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하지만 에피쿠로스 철학은 공동체적 삶과 은둔을 지향한다. 이 책의 저자는..

이순자 [예순 살, 나는 또 깨꽃이 되어] 꿈을 향해 치열한 노년을 살아낸 흔적

지인의 소개로 읽게 된 이 책, [예순 살, 나는 또 깨꽃이 되어]는 무더운 여름날 더위를 떨쳐내게 할 정도로 감동적이다. 이 책은 작가 이순자의 유고 산문집인데, 2021년 여름 작가가 사망한 후 뒤늦게 매일신문 시니어문학상 논픽션 부문에 당선된 가 화제가 되면서 출판되었다. 휴머니스트에서 올 봄에 출간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서둘러 출간되었나 보다. 이 책은 그야말로 '여자의 일생'이란 제목의 소설이 되어도 될 만큼 드라마틱한 이순자의 인생을 담았다. 종가집 며느리로 살다가 50대에 폭력남편과 이혼을 하고 대학에 들어가서 글쓰는 꿈을 향해 착실히 한 걸음을 내딛었다. 저자 이력에서 볼 수 있듯이 여러 상을 휩쓸며 작가로서 성공적으로 시작했지만 두 번째 심장판막수술을 앞두고 세상을 떠났다. 책에 담긴 글들..

늙음과 죽음 2023.07.06

[선인장재배]

댄 토레의 [선인장]을 읽고 나서 선인장에 관해서 좀더 알고 싶어서 책을 뒤지다가 이 [선인장재배]라는 책을 발견했다. 이 책은 농촌진흥청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기획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쓴 것으로 되어 있다. Jinhan M&B에서 2021년에 출간했다. 이 책은 그야말로 선인장재배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되어 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꼭 선인장재배를 하려는 생각이 없더라도 선인장 및 우리나라 선인장 농업과 유통, 상업화 중인 상품으로서의 선인장에 대한 관심이 있다면 충분히 읽어볼 만한 책이다. 제 1장 일반적 특성 1. 선인장이란 - 칠레 고고학 사이트에서는 선인장 출현을 1만 5천년 전으로 추정. 또 브라질, 멕시코, 페루에서는 1만2천-9천년 전부터 채집 식용한 것으로 ..

생명과자연 2023.07.02

Sempé [Les musiciens(음악가들)] 음악가들에 관한 유머 있는 캐리커처

서가에서 책이 떨어져서 보니까 Sempé의 [Les musiciens(음악가들)]이다. 이 책은 오래 전 프랑스 벼룩시장에서 구입했던 것 같다. 한창 Sempé의 그림에 빠져있던 시기에 벼룩시장에서 보이는 그의 책을 제법 구입했던 기억이 난다. [Les musiciens(음악가들)]은 프랑스 삽화가 장 자크 상페(Jean Jaque Semepé, 1932-2022)가 음악가들을 유머 있게 그린 그림들을 모은 것이다. 원래 상페가 음악가가 꿈이었고 그 꿈 때문에 재즈 음악가들을 그리기 시작하면서 그림에 입문했다는 사실은 몰랐다. 그렇다면 음악가들을 그린 그림들을 담은 이 책은 상페에게 특별한 책이었을 것 같다. 1983년 Denolël출판사 folio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나는 상페의 그림들 가운데 이렇게..

만화 2023.06.19

[차를 담는 시간] 도예가 노트

[오후의 소묘]에서 나오는 작가노트 시리즈는 무척 흥미로운 시도로 보인다. [고유한 순간]은 티블렌더의 작가노트였는데, 이번 [차를 담는 시간]은 도예가 노트다. 앞으로도 플로리스트, 서점원의 노트를 선보인다고 예고했다. [차를 담는 시간]은 한동안 내 베개맡 책이었다. 자기 전 소제목 아래 짧은 글 몇 편을 읽고 잠들곤 했다. 그 만큼 글이 편안했다고 할까. 부제로 '토림도예 도예가'라고 해서 '토림도예'가 뭐지? 했다. 도자기 브랜드라는 것을 책을 다 읽고 난 후 알게 되었다. '토림'은 이 글을 쓴 김유미 도예가의 남편 도예가의 호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김유미 작가의 소개를 보면 '날마다 차를 마시고 향을 피우고 도자기를 빚는다'라고 되어 있는데, 글을 읽어봐도 그녀의 일상은 그랬다. 평화로와 보..